We can't find the internet
Attempting to reconnect
Something went wrong!
Hang in there while we get back on track
지난 글 에서 타인의 기대를 과하지 않게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서 얘기했다.
하지만 때로는 타인의 기대를 과하게 높이고 싶을 때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게으른 천재' 같은 타이틀을 얻고 싶다든지.
아마 살면서 그런 사람을 한 명쯤은 본적이 있을 것이다.
심리학에 따르면 '간헐적 강화'(intermittent reinforcement)가 '계속적 강화'(continuous reinforcement) 보다 더 강하게 동기를 자극한다.1
간헐적 강화는 대상의 행동에 말그대로 간헐적으로 보상을 주는 것이다.
간헐적 강화의 대표적인 예로 슬롯머신이 있다. 계속 당기다보면 어쩌다가 터진다. 그래서 그것에 인간은 쉽게 중독된다.
이 원리에 따라 사람들에게 간혹 좋은 모습을 보이면 오히려 사람들의 기대가 커진다.
예를 들어 일을 할 때 평소에는 대충 하다가 가끔 열심히 해서 좋은 성과를 보여주면, '저 사람이 잘 안해서 그렇지 했다 하면 엄청 잘해' 같은 말을 들을 수 있다.
흔히 말하는 '나쁜 남자'도 마찬가지다. 가끔 잘해주면 오히려 더 매력적일 수도 있다.
이 때 중요한 것은 정말 무작위로 강화를 해서 예측을 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계속 '중요한' 일에서 좋은 성과를 보여준다면, 다음 '중요한' 일을 할 때도 높은 성과를 기대할 것이고 그것이 충족되지 않았을 때 큰 실망으로 이어질 것이다. 하지만 정말 랜덤으로 결과를 낸다면 그저 타이밍이 안맞은 일로 치부하고 넘어갈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방식은 장기적으로 좋은 결과를 얻기 힘들다.
먼저 좋은 시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장기적으로 꾸준한 결과의 중요성을 알기 때문에 위와 같은 모습에 잘 현혹되지 않는다. 혹시 발전시킬 여지가 있는지 흥미를 가지고 지켜볼 수는 있겠지만, 결국 지속적이게 되지 못하면 좋은 평가를 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 전략을 쓴 본인도 결국 스스로의 과대 평가에 취해 지속적인 결과를 내는 연습을 하지 못하고, 그저 흥미로운 사람 정도로 남게 된다. 10년을 한 사람에게 유망주 타이틀을 붙일 수는 없지 않은가?
사실은 내가 이런 포지션의 사람이었고, 지금도 그럴지도 혹은 다시 그렇게 될지도 모르는 사람이라 반성적으로 적어본 글이다. 세상에는 쉽고 확실하게 망하는 매력적인 방법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