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to posts

양성/음성 피드백 고리의 물리적 이해

세상을 해석하는 도구 중 하나

View count: -

양성/음성 피드백 고리의 물리적 이해

정규 교육 과정에서 배우는 것들 중 살면서 굉장히 유용하다고 생각되는 것들이 몇가지 있는데,
(집합, 역/이/대우, 극성/무극성, 연속, 극한 등)
그 중 하나인 양성/음성 피드백 고리를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양성/음성 피드백 고리를 영어로 하면 Positive/Negative Feedback Loop 인데, 주로 Positive 를 '긍정적인' Negative 를 '부정적인' 이라고 배우기 때문에 '양성 피드백 고리는 좋다! 음성 피드백 고리는 나쁘다!'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이 표현이 긍정/부정에 대한 가치를 내포하는 것은 아니고, 발생한 영향을 더 증가시키냐 감소시키냐를 의미하는 것 뿐이다.

음성 피드백 고리

음성 피드백 고리가 살면서 더 많이 경험하고 인지하기 쉬운 피드백 고리이기 때문에 이를 먼저 설명하겠다.

음성 피드백 고리는 앞에서 발생한 영향이 더 감소하게 되는 피드백 고리를 의미한다.
이를 물리적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Negative Feedback Loop
골짜기에 있는 돌은 굴려 올리려고 해도 다시 내려가려는 강한 힘을 받는다

음성 피드백 고리는 좋게 말하면 안정적이다.

예를 들어, 우리의 신체는 운동을 해서 체온이 올라가면 땀을 내서 체온을 낮추고, 체온이 떨어지면 근율을 떨게 해서 체온을 높이는 방식으로 우리의 체온을 적정 범위로 유지시키고자 한다.
세상에 많은 것들이 안정적으로 돌아가는 것은 음성 피드백 고리 덕분이다.

하지만 안좋게 말하면 원래 상태를 벗어나기 어렵게 한다.

예를 들어, 조직에서 다들 열심히 하지 않는데 누군가 열심히 해보려고 한다 해도, 주변에서 뭘 그렇게 열심히 하냐고 압박하고 열심히 해도 얻는 것이 없다면 그 사람도 다시 열심히 하지 않게 된다.

양성 피드백 고리

양성 피드백 고리는 앞에서 발생한 영향이 더 증가하게 되는 피드백 고리를 의미한다.
이를 물리적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Positive Feedback Loop
능선에 있는 돌은 한 번 구르기 시작하면 더 빠르게 구른다

양성 피드백 고리는 발생할 때가 종종 있지만, 웬만하면 중간에 멈추도록 하는 여러가지 장치가 있어서 금방 없어지는 편이다.

예를 들어, 두 사람이 처음에는 작은 오해로 말다툼을 하다보면 점점 싸움이 커지지만, 실제로 치고박기 시작하면 주변 사람이나 공권력이 이를 멈추게 한다.

좋게 작용할 때도 있는데, 작은 성공 경험으로 자신감을 얻고 더 큰 성공 경험을 이뤄내는 모습도 양성 피드백으로 볼 수 있다.


세상의 많은 일들은 양성/음성 피드백 고리로 해석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런 피드백 고리로 인해 예상되는 미래의 모습(음성 피드백 고리면 다시 돌아오는 모습, 양성 피드백 고리면 더 심해지는 모습)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큰 에너지가 필요하다.
(양성 피드백 고리를 탈출하기 위해 영원히 고생하는 시지프스...)

다음에는 양성/음성 피드백 고리를 기반으로한 갭(Gap) 이론을 이야기 하려한다.